잊지 않음
타인의 역사가 우리의 연대기가 되기까지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잊지 않기 위해 한 걸음 다가서는 마음
『아내들의 학교』, 『미스 플라이트』, 『바비의 분위기』 등 여성을 둘러싼 혐오의 지형도를 세밀하게 그려내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극우주의를 탐구해온 작가 박민정. 한국소설의 최전선에서 혐오의 정동을 세밀하게 짚어낸 박민정의 첫 산문집 『잊지 않음 :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이 출간되었다. 데뷔 이래 12년간 김준성문학상, 문지문학상, 현대문학상, 젊은작가상 대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아온 박민정 소설가의 산문 『잊지 않음 :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은 그간 그가 보여온 날카롭고도 따뜻한 시선의 연장선에서 생생히 기록한 글들을 모았다.
이 책은 박민정 작가가 쓴 산문이면서도 타인의 역사를 통해 쓰인 산문이기도 하다. 한국사회에서 딸이자, 여학생이자, 여직원이자, 여성작가로 살고 있는 작가의 자의식적 글쓰기인 동시에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여성들의 역사를 기록한 연대기이기 때문이다. 시인, 소설가, 전쟁 피해자, 학생, 어린이, 난민 등 여러 인물들을 자신의 삶으로 수용하고 또 꼼꼼하게 기록하여 다시 펼쳐 보이는 박민정 작가는 “‘작가 개인’의 재현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도망칠 수 있었는지, 어디쯤 가서 뒤돌아보고 있는지 알고 싶었다”고 말한다. 『잊지 않음』이 박민정 작가가 작가로서 보고, 읽고, 묻고, 쓰는 과정에서 지닌 예리함이 있을지라도 따스함을 품고 있는 이유는 작가가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일들을 잊지 않기 위해, 타인의 삶을 자기의 삶으로 포용하고 다시 내보이기 때문이다.
『잊지 않음』은 개인의 역사, 세계의 역사, 소설가로서의 역사를 기록한 세 부로 나뉘어 있다. 어린 시절부터 여성작가가 된 지금까지 직간접적으로 겪었던 차별과 혐오의 기록,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자신으로서 나아감을 선언하는 1부와,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깊게 뿌리내린 혐오의 단면을 돌아보고 우리가 세계의 역사를 함께 쓰는 존재로서 잊지 않아야 할 일들을 기록한 2부, 그리고 ‘쓴다는 일’에 대해 써 내려가며 ‘박민정의 소설’이라는 역사를 어떻게 구축해왔는지를 기록한 3부. “지금이 아니라면 쓸 수도 톺아볼 수도 그래서 엮어볼 수도 없는 글들을 모아보려 했다”는 박민정 소설가의 말에서 우리는 작가의 ‘잊지 않으려는’ 의지와 ‘기록하려는’ 용기를 다시금 느낄 수 있다.
『잊지 않음』에는 최은영 작가의 「나의 오랜 친구 민정이」라는 제목의 발문이 실려 있다. 박민정 작가를 향한, 그리고 박민정 작가의 글에 대한 애정과 동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작가로서 쓴다는 것’에 대한 소회가 담긴 글이다. “박민정 작가의 글은 뜨거운 생각과 감정을 끝까지 응축하고 두드려서 단단하게 만든 칼 같다”는 최은영 작가의 말에서 박민정 작가가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했는지, 또 세밀한 시선으로 글을 써 내려갔는지 알 수 있다.
1985년 서울 출생. 중앙대 문창과와 동 대학원 문화연구학과 졸업. 2009년 [작가세계] 신인상에 단편 소설 『생시몽 백작의 사생활』이 당선되어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 『아내들의 학교』, 장편소설 『미스 플라이트』 『서독 이모』가 있다. 2015년 김준성문학상, 문지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18년 『세실, 주희』로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을 수상했다. 2019년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들어가며 6
1부 나는 그저 가만히 있어, 담배도 피우지 않고 이렇게
여성시라는 장르 규칙1 10
여성시라는 장르 규칙2 18
기억의 간헐 작용 25
나는 그저 가만히 있어, 담배도 피우지 않고 이렇게 32
우리처럼 그들도 43
병에 대한 불안감 47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50
대체될 수 없는 사람 59
하지 않는 쪽으로 62
2부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66
알지 못했던 세계에서―나의 1990년대 77
성난 얼굴을 돌아보기―‘여성혐오’에 대하여 85
2019년 여름, 소비의 기억으로부터 94
제1세계에서 본 것, 느낀 것 104
‘끝없는 게임’의 ‘시작’: 『비바, 제인』 113
나를 실망시킬 때 내 이름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반박하는 여자들』 117
더없이 투명한 가면 쓰기: 「체향초」 123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와 누베르, 남자와 여자: 〈히로시마 내 사랑〉136
3부 선생님은 작가시죠, 아마도?
토끼 인형처럼 무력했던 우리들은 그러나 148
거울 너머의 사람을 바라보는 장면 163
필드워크의 스승 175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소설의 인물에 대하여 178
자꾸 실패한다는 사실이 유용해지는 까닭에 대하여 188
최후의 심판대에서 맑다는 것 195
선생님은 작가시죠, 아마도? 207
나의 오랜 친구 민정이―최은영 219
나가며 231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