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긍정주의자 선언
“남과 비교하며 살다보니 나를 잃어갔다.”
우리는 세상이 정해놓은 허들을 넘느라 자신의 존재 이유도 모르고 달리기만 한다. 어느 날 내가 다녔던 직장에 회의감이 들거나, 왜 이렇게 열심히 살고 있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이 책은 저자가 앞만 보고 달리면서 대학에 들어가고, 취업의 문을 뚫고, 결혼을 후 아이를 낳으면서 ‘이것이 올바른 삶인가?’ 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했다. 그런 의문에 대해 삶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독자들은 방황했던 저자의 삶을 따라 가면서 결국 삶을 살아가는 이유는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스펙, 학위, 성공, 자격증을 좇으며 허덕이다 결국 자신이 나아가야 될 방향을 찾고, 성장하는 이야기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서른 이후의 나다운 삶이었다.” - 우희경 작가
1장 부러우면 지는걸까?
나만 빼고 행복 중
그땐 몰랐지
인싸만 사는 SNS세상
질투는 죽을 때 멈춘다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뭣이 중헌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들
행복의 여정
다 자기 복이지
2장.지나간 버스에 미련을 버려야 새로운 버스가 온다
이성으로 비관해도 의지로써 낙관하라
잠시 멈추는 것도 나만의 속도인 걸
자존감을 잃으면 온 세상이 적이 된다
화장실에서만 혼자일 필요는 없다
정답은 항상 문제지 안에 있어
참 잘 했어요 내 인생
숨만 쉬면 태평성대
나만의 파티에 초대
경로를 재검색합니다.
남들도 다 그렇게 사니?
3장. 노래를 잘하는 새들만 지저귀면 숲은 적막해 질 것이다
결론은 마이웨이
너 자신을 알라
101번째 소개팅
우연의 탈을 쓴 필연
잃어버린 나를 찾아서
빨강 레깅스에 초미니 스커트
순간의 기쁨, 순간의 행복
용기는 두려움을 먹고 자란다
나도 야한 여자가 좋다
극복, 사고의 사춘기
4장. 남이 깨면 프라이, 내가 깨면 병아리
빨리 빨리
월경소녀(越境少女)
헤르만 헤세의 ‘알’
아직 덜 익은 열매라 할지라도
인생 뭐 있어?
인생은 방향이 중요하다
내 인생의 꽃은 아직 피지 않았다
세상에 쓸데없는 경험은 없다
파랑새는 이미 내 안에 있었다
5장 생계형 긍정주의자 선언
타인의 결핍은 보이지 않는다
저 별은 나의 별, 저 별은 너의 별
관계의 균형에 대하여
봉준호 감독과 플란다스의 개
품위 있는 그녀
나는 부러워하며 살지 않기로 했다
나만의 길을 간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