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때문에 불안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치매 불안’을 ‘치매 안심’으로 바꿔줄 책!
진단, 대응, 시설 상담, 돌봄 제도, 인성교육 등
치매 돌봄 전문가가 알려 주는 치매의 모든 것
100세 시대, 인구의 20퍼센트가 고령층이 되는 2026년의 대한민국. 고령층에게 가장 두려운 병은 바로 치매일 것이다. 중앙치매센터에서는 2016년에는 66만 명, 2024년에는 100만 명, 2050년에는 3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치매에 걸린다고 예측했다. 바야흐로 우리에게 ‘치매 사회’가 오고 있다. 치매에 대한 ‘불안’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미국의 저명한 뇌과학자 리사 제노바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85세 이상의 노인 중에서 둘 중 하나는 알츠하이머병에 걸립니다. 당신이 아니었으면 한다고요? 아니라면 당신은 치매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로 살고 있을 것입니다.”
내가 치매이거나 치매에 걸린 다른 이를 돌보는 일이 눈앞에 펼쳐질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치매 때문에 불안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는 치매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부터 바꾸고, 치매를 어떻게 준비하고, 치료받고, 대처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이야기했다. 치매를 선별검사하는 일, 진단하는 일, 치매 약을 복용하는 일, 치매 속도를 늦추는 일, 치매 환자를 돌보는 일 등 치매가 처음인 모든 사람들을 위해 실용적인 정보들을 담았다. 그밖에 치매 환자의 감정 다루기, 인식 개선하기, 치매 제도 이용하기, 치매에 걸린 뇌 살펴보기 등 꼭 필요한 정보를 다뤘다. 특별히 치매 사회에서 ‘치매 친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마음가짐과 행동 강령을 치매 돌봄 전문가이자 심리상담 전문가의 눈으로 상세하고도 친절하게 알려 준다.
치매가 처음인 사람, 치매에 걸릴까 봐 두려운 사람, 치매에 걸린 가족을 돌봐야 하는 사람 등 치매 때문에 불안한 사람들에게 이 책은 불안감을 해소하고, 미래를 단단히 준비하도록 돕는 책이 될 것이다.
치매 돌봄 전문가.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소속 치매공공후견인 후보자.
치매 노모를 돌보며 치매를 제대로 알지 못해 겪는 어려움을 몸소 체험하였다. 대중에게 치매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심리상담가로서 심리학적 관점에서 강연하고 글을 쓰며 치매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기독교 상담)를, 숙명여자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심리상담 및 생활지도 전공)을 마쳤다. 대학 강사로 서울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더불어 노인 상담, 심리학 개론, 인간 관계론을 가르쳤다.
이후 노인복지관에서 전문 심리상담사로 활동하며, 중년과 노년들을 상담하고 강의하는 일을 했다. 현재는 KBS 라디오 <출발! 멋진 인생, 이지연입니다> ‘강현숙의 마음공부’ 코너의 고정 게스트로 출연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오십의 마음 사전》, 《치매지만 하나님께 사랑받고 있습니다》《내 마음과의 거리는 10분입니다》, 《50+를 위한 심리학 수업》, 《나 자신과 화해하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