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
674층의 초고층 타워 도시국가 빈스토크,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빈스토크라는 가상의 공간을 무대로 한 배명훈의 연작소설『타워』. 높이 2,408m, 674층 규모에 인구 50만을 수용하는 타워, 빈스토크. 지상 최대의 건축물이자 도시국가인 빈스토크를 무대로 여섯 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19층 비무장지대부터 670층 전망대에 이르기까지 빈스토크의 곳곳에서는 정치, 경제, 외교, 전쟁, 연애 등 다양한 사건들이 벌어진다.
전자 태그를 붙인 술병을 상류사회에 유통시킨 후 이동 경로를 추적하면 권력 분포 지도가 그려진다.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빈스토크의 미세권력 연구소는 실험을 시작한다. 의뢰인은 현 빈스토크 시장의 재선을 막으려는 야당 선거사무소. 하지만 권력 지도를 그리며 돌던 술병 중 5병이 네 발로 걷는 개 앞으로 전해지면서 연구는 미궁 속으로 빠져드는데….
가상의 초고층 타워를 무대로 하고 있지만, 작가는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이나 감각에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소설 속 타워는 우리가 살아가는 진짜 세계와 너무나 비슷하고, 그곳에서 벌어지는 사건들도 주변에서 흔히 보아온 일들이다. 작가는 냉소적인 듯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그것들을 바라보면서, 능청맞은 풍자로 이야기에 웃음을 더한다.
☞ 작품 조금 더 살펴보기!
소설 속 공간은 놀랍지만, 그 속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다. 소심하고, 불의를 봐도 참고, 앞에선 굽실거리다 뒤에선 욕을 하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털면 먼지 나는 사람들. 작가는 그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부정부패, 표현의 자유, 이념 논쟁, 미사일 위기, 광장의 정치, 부동산 문제 등과 같은 익숙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타워』책소개 동영상
참을 수 없는 것들에 대한 능청맞은 풍자, 소설의 무대를 무한 확장시킨 통 큰 상상력
한국 문학을 다시 광장으로 불러낸 소설가 배명훈
1978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우수논문상 수상). 재학 중이던 2004년 「테러리스트」로 ‘대학문학상’을 받았고, 2005년 「스마트D」로 ‘제2회 과학기술창작문예’ 단편 부문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환상문학웹진 <거울>을 통해 꾸준히 작품을 발표해왔으며, 3인 공동 창작집 『누군가를 만났어』를 비롯해 <판타스틱> 등에 단편을 수록한 바 있다.
통찰력을 갖춘 상상력과 날카로운 풍자, 능청맞은 유머 감각이야말로 소설가 배명훈의 최대 강점이다. 2009년 대한민국의 젊은 작가들 가운데 가장 행보가 주목되는 작가로서, 연작소설 『타워』는 그의 첫 소설집이다. 현재는 올해 안에 출간될 첫 장편소설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동원 박사 세 사람 : 개를 포함한 경우
자연예찬
타클라마칸 배달 사고
엘리베이터 기동연습
광장의 아미타불
샤리아에 부합하는
부록
1 작가 K의 『곰신의 오후』 중에서
2 카페 빈스토킹 - 『520층 연구』 서문 중에서
3 내면을 아는 배우 P와의 ‘미친 인터뷰’
4 「타워 개념어 사전」
작가의 말
『타워』를 읽고 _ 이인화
오멜라스에서 출간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