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샘이깊은물의 생각
- 저자
- 한창기
- 출판사
- 휴머니스트
- 출판일
- 2007-10-08
- 등록일
- 2010-07-01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7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작고 가느다란 것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한창기의 생각
한창기는 지킴과 변화에 대해 문화적이고 인문적인 성찰을 한 문화인이었다. 그는 전통에 깊이 뿌리를 내리면서도 새로움의 가지를 뻗는 일에 열정적으로 매진하였고, 오래되어 아름다운 것들을 보존하고 계승해 왔다. 또한 가장 중요한 배움은 생각하기의 배움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렇게 일상의 작고 가느다란 것들의 아름다움을 깊고 넓은 글쓰기로 풀어낸 한창기의 생각을 세 권의 책에 담았다. 한창기가 창간하고 발행인과 편집인을 겸했던「배움나무」「뿌리깊은나무」「샘이깊은물」에 썼던 글들과, 여러 신문 및 잡지에 실렸던 글들을 모아 재구성한 것이다.
<샘이깊은물의 생각>은 전통과 민속, 문화를 다룬 한창기의 글들이 중심이 된 책이다. 전통 문화, 전통 문화의 파괴와 근대화, 문화 사대주의, 관료주의 비판, 문화재에 대한 한창기의 사유가 담겨 있다. 삶 속에 녹아 있는 전통 문화의 가치와 아름다움, 그리고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특히 한창기에게 문화재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 예용해 선생 관련 글들을 함께 수록하였다.
저자소개
한창기 - 천구백삼십육년 구월 이십팔일부터 천구백구십칠년 이월 삼일까지
전라남도 보성에서 태어나 광주 고등학교를 거쳐 서울 대학교 법과 대학에 진학했다. 그러나 자신의 진로가 법조계가 아님을 깨닫고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미 팔군 영내에서 미국인들에게 귀국용 비행기표와 영어 성경책을 팔았다. 그리고 시카고의 엔사이클로피디어브리태니커 사에서 한국 땅에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을 보급했으며, 천구백육십팔년부터 천구백팔십오년까지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에 몸담아 그 첫 몇 년 동안을 빼고는 줄곧 대표이사로 일했고, 천구백칠십육년부터 타계할 때까지 출판사 뿌리깊은나무 주인으로, 천구백칠십육년부터 천구백팔십년까지 월간 《뿌리깊은나무》의 발행-편집인으로, 또 천구백팔십사년부터 타계할 때까지 월간 《샘이깊은물》의 발행-편집인으로 일했다. 그는 두 월간 잡지를 통해 언론과 문화에 새바람을 불러일으켰을뿐더러 민속, 미술, 예악, 언어, 건축, 복식 할 것 없이 역사와 오늘을 잇는 분야에서 한반도 전통 문화 가치의 탐색에 몰두했다.
그의 업적은 관념에 그치지 않고 실천으로 구현되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를테면 널리 인정하듯이 뜨거운 전통 음악 사랑으로 이 나라에서 해방 후로 천구백칠십년대까지 낡은 가치의 예술로 여겨 부끄러워해 목숨이 위태로웠던 판소리를 다시 한반도 남반부 사람들이 높이 평가하고 즐기는 음악으로 되살려 냈다. 똑같은 곡절로 낡은 생활의 상징으로 여겨 내다 버리던 놋그릇, 백자 그릇을 오늘의 생활에 어렵사리 되살린 것도 그였다.
그런가 하면 세계와 환경과 인류의 걱정거리에 일찍이 눈을 뜬 스승들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여 삶의 큰 몫을 빼어난 전통 가치의 세계화와 탁월한 세계 가치의 한국화에 바쳤고, 남다른 심미안과 사물을 꿰뚫는 통찰력으로 문화 비평과 문명 비평을 글로, 입으로 가멸게 남겼다.
그는 또 한국어를 통찰한 언어학자였다. 《뿌리깊은나무》와 《샘이깊은물》이 이 나라 새 세대가 사용할 언어의 흐름을 새 방향으로 바꾸었다고 다들 인정하는 것은, 그가 타고난 언어의 통찰력으로 한국어의 가장 중요한 유산이라 할 그 짜임새를 올바로 응용하고 발견하고 복원하여, 논리와 이치에 알맞은 글을 한반도 주민들에게 제시하고자 힘썼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를 멋쟁이로 기억하고 한국어와 한국의 문화 예술을 남달리 깊이 알고 사랑한 사람으로 기억한다. 천구백삼십육년에 태어난 그는 천구백구십칠년에 예순한 살로 세상을 떠났다. 좀 일찍 떠났다.
목차
엮은이의 말 - 한창기의 생각, 그 작고 가느다란 것들의 아름다움
1. 사람의 사람다운 세상살이
배달 겨레의 얼
아름다운 소리
장날과 국밥
시골의 오일장
옹기와 국무총리상
조선 백자 가마가 하나 남아 있다
안동포라는 삼베
하고 짜는 한산 모시
2. 등잔 밑을 살피는 깊이
민중이 사는 집
다시 보는 지붕
이 나라에서 가장 잘 지은 초가집?
챙과 옥색
절과 스님
선암사 들녘의 불도저
색깔에 굶주린 백성
옷을 생각하니
오늘의 한복
마고자, 조끼 단추
꽃꽂이 시비
꽃나무와 한반도
거실과 앉음 자세
3. 샘이 깊은 아름다움
날림의 인습
사금파리와 깨진 마음
마늘과 한국 사람
상대적인 아름다움
물과 기름
한국 속의 일본 풍경
사시미의 반성
부산과 일본 풍물
부끄러운 밥
다움을 섬기기
쌍둥이 건물의 장승 한 쌍
관청들의 예술 간판
과학 민박
민속 경연 대회라는 것
민속 무엇
조롱당한 북한 풍물
서울시의 보도 블록
독립 기념관, 이렇게 보는 수도 있다
4. 전통을 내세울 때, 변화를 촉구할 때
문화재 수집은 부자만의 특권일까?
오늘 사도 늦지 않은 골동 가구
골동품 가게
그림 값
문화 사업
안경에 하얗게 김을 피워 올리던 눈물
한창기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