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인이 지닌 힘의 근원을 탐색하다!
KTV 한국정책방송의 프로그램 인문학 열전의 내용을 엮은 책『인문학 콘서트』제2권 인문학, 한국인을 탐색하다 편. 2008년 6월에 시작된 인문학 열전은 국내 대표적인 학자들의 인문학 담론을 소개하며 인문학의 주요 주제들을 쉬우면서도 깊이 있게 다루어왔다. 이번 책에서는 이어령, 박이문, 김열규, 한돈희, 김정운, 하지현, 임헌우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국인을 탐색한다. 놀라운 성과를 이룩한 한국인의 저력은 어디에 있는지, 한국인 고유의 창의력과 상상력은 어디서 온 것인지, 우리가 바라는 미래의 한국인은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할지 등 흥미로운 담론이 펼쳐진다. 풍부한 사진과 그림을 덧붙여 읽는 재미를 더했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한국인 고유의 경쟁력은 무엇이고 그 경쟁력으로 지향해야 할 미래는 어떤 것인지, 한국인이 생각하는 미인은 어떤 인물인지, 한국인에게 귀신은 어떤 존재인지, 한국인의 문학적 재능은 어떻게 드러나는지, 한국인의 음악과 춤의 고유한 특징은 무엇인지 등 다양한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탐색한다. 각 분야의 대표 전문가들이 전하는 깊이 있는 설명과 해석을 만날 수 있다. 다양한 주제를 다룬 열여섯 개 꼭지를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읽어볼 수 있다.
저자소개
저자 이어령
이화여자대학교 명예석좌교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단국대학교대학원 국문학 박사.
문화부 장관, 올림픽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 세계디자인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 저서: 《생각》, 《젊음의 탄생》, 《디지로그》
저자 김정운
명지대학교 대학원 여가경영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베를린자유대학교 대학원 발달심리학 석사, 동 대학원 문화심리학 박사.
일본 와세다대학교 고수기 산업심리연구소 특별연구원, 한국여가문화학회 부회장, 문화체육관광부 새 여가정책 포럼 위원장, 여러가지 문제 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 《노는 만큼 성공한다》, 《휴테크 성공학》,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저자 임헌우
계명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전임교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 디자인학 박사.
(주)와이낫커뮤니케이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대구 시각디자이너협회 부회장 역임.
7회의 개인전 및 다수 국내외 단체전 참여.
저자 하지현
건국대학교 신경정신과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박사.
한국정신신체의학회 학술이사, 한국정신분석학회 편집이사 및 기획이사.
주요 저서 : 《도시심리학》, 《소통의 기술》, 《관계의 재구성》
저자 박이문
연세대학교 특별초빙교수.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파리 소르본대학교 불문학박사,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철학박사.
미국 시몬스대학교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 역임.
주요 저서 : 《과학, 축복인가 재앙인가》, 《과학의 도전, 철학의 응전》, 《과학철학이란 무엇인가》
저자 임돈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민속학·인류학 전공), 문화재위원회 부위원장.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대학원 민속학 박사.
미국 인디아나대학교 초빙교수, 프랑스 파리국립고등사회과학대학원 초빙교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선정국제심사위원, 한국문화인류학회장, 한국민속학회장 역임.
저자 이종철
민속학자.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장.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 석사 및 박사.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유네스코 문화자문위원, 국립민속박물관장, 국립한국전통문화학교 총장 역임.
주요 저서 : 《인간의 달력, 신의 축제》, 《문화의 옛길을 걸으며》, 《우리 민속 도감》
저자 장윤선
작가.
서강대학교 국문과 대학원 석사, 박사.
서강대학교 국어 강사.
주요 저서 : 《조선의 선비, 귀신과 통하다》
저자 오세정
한양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역임.
주요 저서 : 《한국신화의 생성과 소통 원리》, 《신화, 제의, 문학》, 《설화와 상상력》, 《고전, 대중문화를 엿보다》
저자 조용진
한남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도쿄예술대학 대학원 미술해부학 박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역임, 한국 뇌 학회 이사, 얼굴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 《얼굴, 한국인의 낯》, 《우리 몸과 미술》, 《미인》
저자 김열규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문학 및 민속학 전공.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교수 역임.
주요 저서 :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한국문학사》
저자 최준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 학사, 미국 템플대학교 대학원 종교학 박사.
국제한국학회 회장, 한국문화표현단 이사장, 한국죽음학회 회장.
주요 저서 : 《세계가 높이 산 한국의 문기》, 《한국인을 춤추게 하라》,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저자 이종묵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박사.
제2회 우호학술상 한국문학부문(2009)
주요 저서 : 《우리 한시를 읽다》, 《글로 세상을 호령하다》, 《조선의 문화공간》
저자 한명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이미시 문화서원 좌장. 서울시립대 음악학과 교수, 국립국악원장 역임.
주요 저서 : 《우리가락 우리문화》, 《하늘의 소리 민중의 소리》, 《우리 국악 100년》
저자 김삼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창작과 교수.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전임강사.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목차
제1부. 한국인, 어디로 가나
『Only One, 한국인의 독창성』 이어령
세상 모든 것이 인문학이다 | 인간을 둘러싼 세 가지 세계 | Living vs Life |온리원(Only One) 창조자 | 새로운 인류 자본, 인문학 | 감동의 인문학 | 부정의 인문학 | 거북선과 아다케 후네 | 소통의 인문학 |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라 | 온 세상이 교과서다
『한국인이 놀다』 김정운
놀아야 한다 | 한국인은 왜 놀 줄 모르는가 | 한국인에게 부족한 정서적 공감대 | 창조하고 싶다면 맥락을 바꿔라 | 생각의 지도 | 휴테크가 필요하다 | 쉬기와 놀기 사이 |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사회
『한국인, 상상력을 디자인하라』 임헌우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 상상력이 생산성을 주도한다 | 브로드비치의 오프너 | 파이(π)형 인간 | Stay Hungry, Stay Foolish | 생각의 관성에서 벗어나라 | 생각의 가지를 쳐라 | 독창성은 어디서 오는가 | 감동하게 하라 | 발견과 발명 사이, 인류의 역사 |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어라 | 상상력의 기반, 열정 DNA | 생각의 크기 | 진정으로 원하면 이루어진다? | 상상력의 세 요소 | 인생은 저지르는 자의 것이다
『한국인의 도시 심리학』 하지현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 소통과 폐쇄 사이 | 술의 도시 심리학 | 광장의 집단 의식 | 유령 위장 | 인지부조화 | 원두커피와 커피믹스 사이 | 양극화하는 노인 계층 | 자살률 1위, 대한민국 | 성형 열풍 불다 |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라 | 내 욕망을 부끄러워하지 말자
『한국의 과학교육을 위하여』 박이문
과학문명에 대한 철학적 성찰 | 세계관으로 과학을 만나다 | 과학과 감성 | 과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침묵의 봄
제2부. 한국인, 어디서 왔나
『한국인의 조상』 임돈희
어떤 민속학인가? | 세계에서 평가받는 한국의 무형문화재 | 한국인 가문의 형성 | 전통사회 가족관계 | 한국인에게 조상은 어떤 존재인가? | 조상제사에서 민속의 역할 | 한국식 입양과 재산분배 | 우리가 풀어야 할 단일민족 사회의 과제
『한국인의 명절』 이종철
한국인의 명절 | 한국인의 명절 놀이 | 한국인의 24절기 | 24절기와 풍속 | 한국인의 놀이
『한국인의 귀신이야기』 장윤선
왜 귀신인가? | 귀신의 개념과 유교적 귀신관 | 있어야 할 귀신, 없어야 할 귀신 | 원혼, 소외된 자들의 이야기 | 귀신이야기의 비공식적 세계관 | 귀신, 현재와 과거의 접점
『한국인의 신화적 상상력』 오세정
신화란 무엇인가 | 한국인의 창세신화 | 건국신화, 무속신화 | 신화적 인물의 공간이동과 그 의미 | 신들의 변신 | 신화는 우리 자신의 이야기다
『한국 미인』 조용진
미인의 기준은 변한다 | 민족의 특징적 얼굴의 형성 | 미인의 평가에 작용하는 가치 개념 | 지역과 성에 따른 미인의 기준 | 진정한 미인
제3부 한국인, 누구인가
『한국인의 죽음』 김열규
죽음, 사랑, 문학 | 한국인은 세 번 죽는다 | 문화현상으로서의 곡(哭) | 영혼은 어떤 존재인가 | 메멘토 모리 | 죽음은 삶의 주춧돌이다 | 죽음을 승화하라
『한국인의 문기(文氣)』 최준식
문기와 신기 | 한국인은 왜 문화적 열등감을 느끼는가? | 경이로운 인쇄문화 | 한국인의 기록 정신 | 최고의 문화유산, 한글 | 한글 창제의 배경 | 문기, 한국인의 잠재력
『한국인의 한시』 이종묵
한국인의 한시 | 설중매(雪中梅) | 시중유화, 화중유시 | 임금, 시를 짓다 | 조선의 시인들
『한국인의 음악혼』 한명희
국악의 뿌리 | 우리 음악의 특징 | 단가(短歌), 판소리, 사물놀이 | 국악, 어떻게 즐길 것인가?
『한국인의 춤』 김삼진
한국춤 | 한국춤의 특징 | 한국춤의 명인들 | 한국춤의 미래
『한국인의 집, 한옥』 김봉렬
한국인의 집 | 한옥의 재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