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진의 우리의학 이야기
정호진의 우리의학은 서양의학을 대신하거나 서양 의학을 중심에 두고 바라보는 서구적 관점의 '대체의학'이 아니다. 정호진의 우리의학은 그동안 서구 의학에만 의존하고 맹신해 온 우리에게 새로운 '대안의학'으로서 우리의학을 제시한다. 모두 아는 사실이지만 서양의학은 기계론적 세계관에 근거, 주로 병적인 현상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현상치료에 머물지만 전통 한의학과 동양의학은 질병을 발생시킨 뿌리를 찾아 제거하고 현상치료를 함께 한다는 점에서 치료의학과 구별된다. 정호진의 우리의학이 추구하는 기본 방향은 특정 의학이 최고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인류가 이뤄놓은 동서양의 의학적 지혜를 한데모아 체계화하고 통일적인 관점에서 이를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전통 한의학과 동양의학이 오랫동안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동안 분명 서양의학의 발전은 우리가 고령화 사회를 걱정할 만큼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현대의학의 한계는 존재하는 만큼 특정의학만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사실 최근 들어 동서양 양쪽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의식이기도 하다. 이러한 때에 정호진의 우리의학은 동양의학적 관점에서 우리 조상들이 수천 년을 살아오면서 생활 속에서 직접 체험하고 민간전승으로 전해준 의학적 지혜를 일반인도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풀어 쓴 생활의학서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서양의학에 떠밀려 우리의 관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던 생활 속의 의학을 되살려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이 책이 쓰여 진 이유이기도 하다.
판권 페이지
차례
첫째 마당
1. 우리 의학 순례기
2. 우리 몸 안의 다섯 가지 길
3. 음식물이 다니는 길
4. 물이 다니는 길
5. 거대한 인체의 통신망 - 신경 길
6. 생명의 원천을 나르는 핏길
7. 재미있는 장부(藏腑)이야기
8. 침묵의 장군지관 - 간의 역할과 하는 일
둘째마당
1. 우리 의학이란?
2. 우리 의학의 범주
3. 우리 의학의 바탕철학과 세계관
4. 인술을 베푸는 자(의자/醫者)의 5단계
5. 우리 의학의 진단원리(병을 치료하려면
6. 우리 의학의 진단법 - 4진법
7. 우리 의학의 진단법-귀로 들어 진단하는 법(청진법 혹은 문진법)
8. 우리 의학의 진단법 - 물어서 진단하는 법(문진)
9. 우리 의학의 진단법-맥진법
10. 우리 의학의 진단법 - 촉진법(복진법)
11. 우리 의학의 치료원리
12. 우리 의학의 목표- 큰 의자(醫者)가 되는 것
13. 우리 의학의 나아갈 길(미래)- 바람직한 의학의 길을 제안하며
셋째 마당
1. 건강한 출산과 초기 육아법
2. 급한 탈 돌보기(응급처치법)
3. 명약 중의 으뜸인 침
4. 신비의 인술 - 부항요법(附缸療法)
5. 우리가 잊고 살지만 아주 중요한 운동들
6. 아토피성 피부염
7. 올바른 체질 개선법
맺는 말
- 남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