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임 파인
서로 다른 세계에 사는 우리가 만나
이렇게 함께 오늘을 살아간다
스물넷 자폐인 아들과 엄마가 걸어 온 나날들
스물네 살 자폐인 김상현 씨가 걸어온 하루하루. 귀를 막고 혼잣말을 중얼거리며 멍하니 허공을 응시하던 아이가 자라 스물넷 청년이 되었다. 요즘은 매일 여행하듯 직장 생활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 ‘보통의 세계’에 적응하며 산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김상현 씨의 엄마 이진희 씨는 십수 년간 아들이 써 온 일기장을 찬찬히 들여다보며 지난날을 떠올린다. 연필을 꼭꼭 눌러쓴 일기장에서 엄마는 그때는 미처 다 알지 못했던 아이의 마음과 그때는 맞다고 생각했지만 지나고 보니 명백히 잘못이었던 자신의 행동을 발견한다. “아이를 키우면서 내가 저지른 실수와 경험 들이 누군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기꺼이 나누고 싶다.”
엄마
아이는 세 살 무렵 자폐성 장애 진단을 받고 또래보다 일 년 늦게 초등학교에 들어가 스물한 살 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일 년 뒤 정규직 연구원이 되었다. 때로는 고단하고 버겁지만 보통은 따뜻하고 행복한 일상. 되돌아보니 더 선명히 보이는 그때의 풍경들을 다른 이들과 나누고 싶어 아들의 일기를 고르고 엮었다.
프롤로그
1. 대충이 없는 세계
2. 가만히 들여다보면 다 나름의 이유가 있다
3. 우리 엄마들에게는 건강한 마음의 근육이 필요하다
4. 우리는 말없이 하늘을 바라보았다
5. “엄마는 슬퍼했지만, 나는 슬프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6. 장애가 낫는다는 말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이제는 안다
7. 12년, 참 열심히 살았는데도 황량한 벌판에 아이와 단둘이 서 있는 느낌이었다
에필로그
2000년 초겨울 짙은 안갯속에서 길을 잃은 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