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을 지금 준비하라
“상속재산은 그 자체가 다툼의 대상이며, 준비와 계획 없는 상속은
가족 간의 분쟁을 반드시 일으킨다. 온 가족이 협의해서 지금부터 준
비해야 한다. 그래야 세금은 절세해서 기쁜 마음으로 납부할 수 있고,
가족의 행복과 화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공인회계사·세무사·경영학 박사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건국대학교 부동산 대학원
한양대학교 경영학 박사(세무회계전공)
현 : ·재정회계법인 대표이사
·한국공인회계사회 수석부회장
·한국세무학회 부회장
·건국대부동산세무전문가과정 겸임교수
- ‘2022 상속을 지금 준비하라!’를 내며...
- 머리글
- 추천의 글
I. 상속의 이해
1. 주요 상속 통계 _3
2. 거래단계별(취득·보유·명의이전) 발생하는 세금의 종류 _8
3. 상속세의 의의 및 과세방법 _12
4. 상속세 계산구조 _15
5. 상속 협의 분할 시(증여세 과세 여부) _20
6. 상속세 납부의무 및 관할관청 _24
7. 상속세 신고·납부기한 _27
8. 상속재산 확인 방법 _30
9. 상속포기, 한정승인 _34
10. 상속재산 법정 지분 _38
11. 상속권 및 상속 순위 _40
Ⅱ. 상속세 주요 사례 및 핵심 전략
1. 상속재산(본래의 상속재산) _47
2. 간주상속재산(보험금, 퇴직금) _67
3. 추정상속재산 _74
4. 비과세(금양임야, 묘토) _80
5. 과세가액 공제액(공과금, 장례비용, 채무) _82
6. 사전증여재산 합산 _87
7. 과세가액 불산입(공익법인 출연) _1110
8. 상속공제 _117
9. 상속세율 _136
10. 세대생략상속, 대습상속 _139
11. 세액공제 _147
12. 가산세 _152
13. 상속세 납부(분납, 연부연납, 물납) _156
14. 피상속인이 비거주자인 경우 _164
Ⅲ. 가업상속공제
1. 가업상속공제 _170
2. 가업상속 후 7년간 사후관리 _184
3. 가업승계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제도 _188
4. 주식평가 _ _195
Ⅳ. 상속세 세무조사
1. 세무조사 _ _213
2. 자금출처조사 _ _220
Ⅴ. 증여세 절세전략
1. 증여세의 의의 및 과세방법 _227
2. 증여세 계산구조 _229
3. 증여 받은 후 반환 _231
4. 증여자가 증여세를 납부하는 경우 _236
5. 부담부증여 _239
6. 장애인이 증여받은 재산의 과세가액 불산입 _243
7. 증여재산공제와 조개기증여 _248
8. 자녀에게 증여하는 방법(월정액 분할 증여) _252
9. 세대생략증여 _254
10. 특수관계인간 저가 양수도 _256
11. 특수관계자간 부동산 무상사용 _259
12. 부모 자식간 자금거래(금전 무상 대출) _263
13. 초과배당 _266
14. 특정법인과의 거래에 따른 증여 _269
15. 배우자등 증여자산 이월과세 _272
16. 부동산별 기준시가 고시시점 _275
부록
1. 2021년 주요 개정세법 _277
2. 웹툰으로 풀어보는 상속증여 절세전략(전문가 칼럼) _283
3. [기고] 비주거 부동산 감정평가 기준 명확히 해야 _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