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RPA 플랫폼 구축 A to Z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RPA 이야기!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는 사전에 정해진 규칙대로 사람이 하는 작업을 흉내 내어 업무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말한다. 아무리 편리하고 작업 효율성이 좋다는 RPA라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하거나,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다수 있다.
『성공적인 RPA 플랫폼 구축 A to Z』는 RPA 프로젝트를 추진함에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편리하고 유익한 방향을 제시하며, RPA 신규 도입이나 RPA 업무의 확대 또는 RPA 업무를 잘 운영하기 위해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RPA 도입 전 준비 사항, RPA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 단계, 그리고 RPA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내용이 알차게 수록되어 있다.
시중은행에 근무하면서 최근 5년간 13건의 프로젝트 PM 업무를 수행하였고 그중 총 4회의 RPA 프로젝트를 완료하였음. 사용자 관점에서 RPA 프로젝트 수행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고민한 내용을 디지털데일리, 한국 IDG, 데브멘토, 산업교육연구소,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에서 주최하는 세미나에서 강연하였고, 금융보안원에 관련 문서 기고 및 외부 업체 강연 등의 경력이 있음.
PART 01 RPA 도입 및 사전 준비 사항
LESSON 01 RPA 소개 및 국내 도입 현황
01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의 정의
02 RPA 소프트웨어의 특징
03 RPA와 기존 전산화/자동화와의 차이점
04 RPA 소프트웨어의 구성
05 국내의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 도입 현황
LESSON 02 RPA 전략 수집의 필요성
LESSON 03 RPA의 전략적 도입을 위한 10가지 점검 사항
01 RPA의 포지셔닝
02 RPA 거버넌스
03 전사적 보안정책과의 협의
04 RPA 컨설팅의 필요성
05 RPA 도입 방식
06 RPA 운영 리스크 분담
07 RPA의 프로세스 리스크 관리
08 개인정보 보호
09 RPA 확산을 위한 고려 사항
10 RPA를 통한 직원의 변화 관리
LESSON 04 RPA 도입을 위한 운영 인프라 구축
01 로봇 PC 구성 방식의 결정
02 RPA 로봇 운영 공간의 확보
03 인력 구성
LESSON 05 RPA 기대효과
PART 02 RPA 프로젝트 추진
LESSON 01 RPA 프로젝트 라이프 사이클
01 프로세스 선정
02 프로세스 분석 및 개발
03 업무 적용 및 안정화
04 모니터링 및 효과 분석
LESSON 02 RPA 업무의 선정기준
01 RPA 요건에 맞는 프로세스
02 RPA화에 적합하지 않는 요건
LESSON 03 RPA 업무의 개발 공수 산정
01 RPA 개발 공수 산정
02 RPA 업무 적용 가이드라인 운영
LESSON 04 도입 전 환경 점검 실시
0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 점검
02 RPA와 사내 시스템 간 연결 호환성 확인
LESSON 05 RPA 개발 표준 수림
01 표준 템플릿 프로세스 관리
02 공통 프로세스 작성 및 목록 관리
LESSON 06 RPA 아키텍처 3요소
01 편의성
02 안정성
03 확장성
LESSON 07 업체와 사용자 간 사전 협의 사항
01 로봇 활용률
02 프로세스 품질
03 RPA 아키텍처
04 전략적 활용 방안
PART 03 RPA 운영 모델
LESSON 01 RPA 시스템 모니터링
01 선제적 모니터링 - 장애 예방
02 품질 관리
LESSON 02 사내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보
LESSON 03 내·외부 변화 관리
01 회사 내부 위험 요소
02 외부 위험 요소
LESSON 04 RPA 장애 대응 방안
01 장애 발생 인지 및 대응 방안 결정
02 장애 복구 작업 실시
03 작업 인계
04 업무 연속성 계획(BCP) 가동
LESSON 05 RPA 로봇 활용률 향상
01 정교한 업무 스케줄 작성
02 안정적인 야간 및 휴일 운영
03 혁신적인 업무 재설계
PART 04 RPA의 미래
LESSON 01 RPA와 디지털 기술 간의 융합
LESSON 02 비정형 문서 처리 자동화
01 비정형 문서 처리의 핵심 키워드
02 비정형 문서 처리 흐름
LESSON 03 음성인식을 활용한 RPA 서비스
01 음성인식을 활용한 RPA 서비스 제공 방안
02 음성인식을 활용한 RPA 서비스 제공 시 고려 사항
LESSON 04 안면인식을 활용한 RPA 서비스
01 안면인식의 활용 실태
02 안면인식을 활용한 RPA 서비스 제공 방안
03 안면인식에 기반한 RPA 서비스 제공 시 리스크 관리 방안
04 안면인식에 기반한 RPA 서비스 활용 방안
LESSON 05 챗봇을 활용한 RPA 서비스
01 챗봇의 이해
02 챗봇을 활용한 RPA 서비스 제공 흐름
LESSON 06 웹서비스를 활용한 RPA 서비스
01 웹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흐름
02 챗봇과 웹서비스를 통한 RPA 선택 시 고려 사항
LESSON 07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한 RPA 프로세스의 발견
01 분석 시나리오 작업
02 현상 분석
03 해결 방안 제시 및 수행
04 개선 후 모니터링
LESSON 08 RPA를 활용한 데이터 크롤링
LESSON 09 포스트 코로나 이후 비대면(언택트) 시대의 RPA
01 언택트 시대의 도래에 따른 백오피스 업무량 증가 예상
02 중·소규모 기업을 위한 기성 로봇 혹은 구독 서비스 시장의 출현
LESSON 10 RPA의 필요성 및 향후 발전 방향
01 RPA 활용을 통한 기업 경쟁력 향상
02 RPA 서비스는 대상이 아닌 도구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