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예술의 탄생
컴퓨터를 예술 창조의 주체로 삼다!
컴퓨터의 예술적 잠재성에 대한 탐구와 도전!
20세기에 철학의 패러다임이 언어학적 전회를 겪었듯이 최근에 인문학의 패러다임은 새로이 미디어적 전화(medial turn)를 겪고 있다. 오늘날 예술가들은 점점 더 첨단 기술에서 표현 수단을 찾고 있으며, 엔지니어들은 점점 더 예술에서 새로운 기술을 위한 영감을 얻고 있다.
『진중권의 뉴미디어 아트』시리즈《컴퓨터 예술의 탄생》은 이러한 현재 상황을 반영, 컴퓨터의 예술적 잠재성에 대한 탐구와 도전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컴퓨터 예술이란 컴퓨터를 예술 창조의 주체로 삼는 컴퓨터의 예술이며, 컴퓨터가 예술을 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인간 예술과 그 이념을 달리한다.
총 9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3장(6장, 8장, 9장)은 진중권이 집필했으며, 나머지 6장은 가와노 히로시가 연구한 컴퓨터 예술에 대한 이론 등을 진중권이 옮기고 엮은 것이다. 초기 생성 예술과 결부된 이론적 연구를 담은 컴퓨터 예술의 이론, 가와노 히로시가 60~70년대 실험한 컴퓨터 예술 생성 실험, 그리고 컴퓨터 예술의 사상과 이념이 그것이다.
▶진중권의 뉴미디어 아트 시리즈명인 UAT(ubiquitous & Technology) 총서는 한국 예술종합학교 미래교육 준비단에서 추진하는 출판 프로젝트로, 테크노 아트의 이론과 실천을 인문학화함으로써 예술과 기술과 인문학을 통합하려는 이론적 시도에 대한 결과물이다. 엔지니어와 아티스트, 그리고 인문학도가 함께 읽을 수 있는 새로운 통합적 텍스트를 생산함으로써,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 예술과 기술, 인문학 사이의 이해와 통합을 지향한다.
지은이 가와노 히로시(川野洋)
1925년생. 1951년 도쿄 대학교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했다. 문학박사. 도쿄도립과학기술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지금은 은퇴하여 도쿄에서 부인과 함께 도쿄에서 생활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藝術情報の理論》, 《記號としての藝術》, 《藝術の理論》, 《コンピュ-タ-と美學》, 《LOGO言語入門》 등이 있다.
옮기고 엮고 쓴 진중권
1963년생. 1986년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논문 〈유리 로트만의 구조기호론적 미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1999년 귀국했다. 현재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겸임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초빙교수, 카이스트 겸임교수로 활동하면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2005년부터 미디어 철학과 예슬에 대한 연구와 강의,세미나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대표작으로 《미학 오디세이 1, 2, 3》, 《레퀴엠-전쟁의 미학》,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서양미술사 1》등이 있고, 《춤추는 죽음》, 《앙겔루스 노부스》, 《진중권의 현대 미학강의》, 《천천히 그림읽기》(공저) 외 다수가 있다. 이 책의 6장, 8장, 9장을 집필했고, 그 외의 것을 옮기고 엮었다.
옮기고 엮고 쓴이의 말
지은이의 말
1부 컴퓨터 예술의 이론
1장 정보란 무엇인가?
2장 현대예술과 정보미학
3장 컴퓨터와 생성미학
제2부 컴퓨터 예술의 실천
4장 나의 컴퓨터 예술
5장 컴퓨터를 이용한 예술 시뮬레이션
6장 컴퓨터 그래픽의 고고학
제3부 컴퓨터 예술의 사상
7장 컴퓨터 예술이란 무엇인가?
8장 컴퓨터 생성예술의 탄생(가와노 히뢰 인터뷰)
9장 컴퓨터,하이데거와 마르크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