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미워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 남자에 대해 쓰기 시작하자 다른 삶이 보였다!
“사랑은 하지만 고구마 백 개 먹은 기분이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남편과 행복하게 사는 법
* 엄지혜 작가, 전지민 편집장 추천 *
“글을 처음 쓰던 순간에 나는 남편에게 화가 많이 난 상태였다. 원치 않는데도 뭔가를 포기해야만 하는 상황이 자꾸만 찾아오는 게 싫었다.”
평범하게,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아주 천천히, 고요하게 여생을 살고 싶었던 한 여자가 있다. 첫눈에 반한, 그러나 자신과는 너무도 다른 남자와 결혼을 하면서 인생이 180도 바뀌었다. 가보고 싶은 곳, 해보고 싶은 일이 많은 이 남자와 사는 삶은 지나치게 빠르고 숨이 가쁘다. 점점 포기를 해야 하는 일들도 늘었다. 결혼 7년 차, 또다시 간절히 원하던 일을 포기해야 하는 순간이 찾아왔다. 결국 ‘엄마와 아내라는 책임감 때문에’ 합의 하에 가족을 위한 선택을 하기로 했지만, 무너지는 마음에 더는 참을 수도 버틸 수도 없었다.
멀쩡한 직장도 그만두고 여기(교토)까지 쫓아와 버텼는데, 서른 중반에 아르바이트도 했는데, 이제 갓 스물인 어린 친구들에게 뒤지지 않으려고 얼마나 열심히 공부했는데, 만삭의 배를 끌어안고 대학원 시험도 치렀는데, 아이 돌보면서도 기쁨과 꿈 따위의 긍정적인 감정을 놓치지 않기 위해 그토록 애썼는데, 학교 다니랴 아이 돌보랴 몸이 하나로는 부족했는데……. 졸업하려면 아직도 이렇게나 많이 남았는데 이제 와서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다니. (259쪽)
박햇님 작가는 남편과 아이를 많이 사랑하지만 어쩔 수 없이 체념이, 또 어느 날은 분노가 불쑥불쑥 고개를 들곤 했다고 고백한다. 때로는 삶이 갑자기 수렁으로 곤두박질치는 것 같아 눈물이 났고, 쉽사리 진정되지 않는 날이 계속됐다. 그러나 자신과 가족의 삶이기에 널뛰는 마음으로 계속 살아갈 수는 없었다. 삶에서 이 모든 일이 벌어지게 만든 장본인, 남편에 대해서도 더 알아야만 했다. 그래서 작가는 남편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했고, 마음속 불만과 슬픔 또한 써내려가며 자신의 상처의 근원에 다가가보기로 결심한다.
글쓰기의 힘은 실로 대단하다. 작가는 글을 쓰면서 남편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되었고, 스스로의 모습도 솔직하게 마주하게 되었으며, 서로에 대한 애정도 다시금 확인한다. 무엇보다 자신의 가족에게 맞는 삶의 방식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할 기회를 얻어 현재는 사회의 편견에 맞서‘역할 바꾸기’에도 도전하고 있다. 매일의 삶이 버겁다고 느낀다면, 결혼 이후 많은 게 바뀌어버렸다는 체념이 늘었다면, 함께 사는 남편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어 답답하다면, 『남편이 미워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를 읽고 작가처럼 글을 써볼 것을 권한다. 작가의 유쾌하면서도 진지한 사유가 당신의 글쓰기를 응원할 것이다.
삶의 안온함 속에서 뭉그적거리기를 좋아하던 여자, 남편을 만나 자신의 인생이 파란 많은 삶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결혼 2년 차, 사표를 던지고 남편과 느지막이 유학길에 올랐지만, 뚜렷한 결과를 내지는 못했다. 남편은 언제나 괜찮다고 말한다. 때론 긍정적이라 의지가 되고, 어떨 때는 그 모습이 답답해 한숨이 나오고……. 감정이 하루에 열두 번도 더 바뀌던 어느 날, 남편이 먼저 제안했다. 자신을 소재로 글을 써보라고. 그래서 쓴 글이 책이 되었다. 현재 남편은 집에서 아이를 돌보며 식물을 기르고, 여자는 회사로 복귀했다. 회사를 쉬는 동안 비정기간행물 <작은 가게 vol.1>의 원고를 집필했으며, 옮긴 책으로는 《365일 생각하는 빵》, 《꼬마 빵 레시피》, 《고잉 그레이》가 있다.
프롤로그
1. 가장의 밥벌이는 언제나 위태롭다
내가 남편에 대해 쓰는 이유
상견례를 하자마자 회사를 그만두겠다니
아르바이트가 어때서? 기죽지 말라고
자산 관리가 뭔가요?
우리 집에선 나도 자랑하고픈 딸이란 말이다
이 남자의 무기는 눈물
사랑이 진한 우정 같기만 해도 좋겠다
운명공동체라는 아픈 말
2. 아무리 뜯어봐도 우린 참 달라
국제이사, 두 번은 못 할 짓
다시 입사지원서를 쓰는 시간
많으면 많은 대로 걱정, 남편의 손재주
길 찾는 아내, 따라오는 남편
멋 모르는 여자와 멋 부리는 남자
남편의 인간관계는 곧은 일직선
틀린 게 아니라 달라서 하는 부부싸움
3. 우리에게 잘 맞는 방식, 그게 정답이야
남자 여우가 여자 곰을 만났을 때
아직은 함께 나누기 복잡한 주제, 페미니즘
최선을 다하는 중 vs. 죽을힘으로 버티는 중
완벽한 주부 9단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주양육자와 부양육자의 동상이몽
아빠가 아이를 돌본다는 것, 그리고 편견
첫눈에 반한 남자랑 결혼한 여자의 삶
생각해보면 나 역시 불확실한 꿈을 꾸는 사람이었다
역할을 바꾸고 서로에게 품게 된 존중
에필로그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