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와 숲의 이력서
『우리 나무와 숲의 이력서』는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식물이 왜 그곳에 분포하는지, 간과 공간 그리고 관점을 넘나들면서 현장을 관찰하고 기록한 보고서다. 지질 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시간 여행을 하고, 유라시아 대륙 북극해 연안의 툰드라부터 제주도 한라산 정상까지 공간을 넘나들면서, 식물지리학자의 눈으로 한반도에서 자라는 나무와 숲의 자연사, 문화, 지리와 생태를 기록했다.
이곳에 사는 어떤 식물이 왜 다른 곳에는 살지 않는지 환경과 관련해 탐구하는 과학자. 지질시대 이래 높은 산에 자라는 식물들의 분포와 다양성에 기후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심이 많다. 현재의 기후, 지형, 토양 등 자연환경과 인간 그리고 생태계의 관계를 현장에서 연구 중이다. 자연생태계와 환경문제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머물지 않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며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영국 헐대학교(University of Hull)에서 생물지리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키워드로 보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생물지리학으로 보는 우리식물의 지리와 생태』, 『한반도 식생사』, 『북한의 자연생태계』, 『침엽수 사이언스 I』 등이 있다.
머리말
제1장 담 너머 세상
내 대신 누군가는 산과 들에 있는 나무와 숲을 보살피겠지 / 같은 식물을 보는 다른 눈 식물지리학 / 식물지리학이 무슨 도움이 될까 / 한반도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이어 주는 땅
제2장 식물을 지도 위에 그리다
지도에 그린 식물의 주소 식물 분포도 / 식물을 보는 지리적인 눈 / 모으고 나누고 식물상과 식물지리구 / 한반도 식물지리구 / 적도에서 극지까지 세계의 식생대 /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한반도 식생대 / 상록활엽수대와 조엽수림 문화 / 산을 오르면 보이는 식물 분포 수직적 식생대 / 우리나라에도 고산대가 있나요
제3장 지질 시대 한반도의 나무들
지구의 지질 시대 / 고생대 우리 숲 / 중생대 우리 숲 / 신생대 제3기 우리 숲 / 신생대 제4기 우리 숲 / 현재의 우리 숲
제4장 마지막 빙하기 이후 우리 나무들
마지막 빙하기는 얼마나 추웠나 / 플라이스토세 최후빙기 이후 나무 / 홀로세 동안의 나무
제5장 최후빙기가 남긴 큰 발자국
키 작다고 무시하면 곤란하지요 유존종 꼬마 나무들 / 마지막 빙하기 동아시아 식물들 / 극지고산식물의 자연사 / 동아시아의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 / 마지막 빙하기의 한반도 식물들 / 한반도의 극지고산식물
제6장 사람들과 함께 부대끼며 살아온 나무들
구석기 시대 숲의 간섭 / 신석기 시대 숲의 간섭 / 청동기 시대 숲의 간섭 / 철기 시대 숲의 간섭 / 삼국 시대 숲의 간섭 / 고려 시대 숲의 간섭 / 조선 시대 숲의 간섭 / 근현대 숲의 간섭
제7장 나무와 숲을 불태우며 살았던 사람들
화전의 뿌리를 찾아서 / 넓어진 화전 / 화전과 숲의 간섭 / 늘어나는 화전민과 화전 정리 사업
제8장 왜 우리 산은 벌거숭이가 되었을까?
자연환경 / 산림 파괴와 아궁이 / 병해충 / 음식 / 생활용품 / 산촌 / 고랭지 농업 / 벌목 / 묘지 / 산지 개발
제9장 민둥산을 푸른 숲으로
민둥산에서 푸른 숲으로 / 미래 세대에 넘겨주어야 할 자연 유산
제10장 미움받는 나무와 사랑받는 나무
영웅에서 역적으로 몰린 애꿎은 나무들 / 골칫거리가 된 외래 식물과 귀화식물 / 언제 어디서 왔나 / 귀화식물을 어떻게 할까요 /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과실나무
제11장 나무와 사람들의 쉼터 마을 숲
산골 마을과 숲 / 마을 숲 / 비보 숲과 수구막이 숲 / 마을에 살아남은 외로운 나무들의 섬 / 당산목과 노거수, 보호수 / 정원수
제12장 우리 곁에 함께 사는 나무들
소나무 이야기 / 대나무 이야기 / 차나무 이야기 / 커피나무 이야기
나오는 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