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교회교육을 디자인 하다
언택트 시대, 교회교육을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필독서
코로나 시대는 교회에 위기일까? 언택트에서 인택트로!
코로나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손상되지 않은, 손상될 수 없는 복음의 가치, 인택트
2020년 한국 사회는 코로나 19로 인해 전례 없는 팬데믹 상황 속에 처해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코로나 19가 가져온 심리적 불안감은 신앙생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일 아침에 교회에 가서 예배하는 것이 당연했지만 이제는 아니다. 안타까운 것은 갑작스레 닥쳐온 팬데믹 상황 속에서 교회교육 역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기독교교육은 면대면 교육을 기반으로 신앙을 전수하였다. 그러나 면대면 교육을 시행할 수 없게 되면서 비대면 교육을 통해 어떻게 신앙을 전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교회학교는 아직 ‘정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신앙교육을 담당하는 교회학교 사역자와 교사들이 많이 불안해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 교회교육을 디자인하다』은 교회교육에 대한 현재의 문제에 깊이 공감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총신대학교의 교수들과 교단 내 교회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목회자를 중심으로 팬데믹 상황 속에서 교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교회학교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지도해야 할지에 대한 원리와 방법을 담고 있다. 또한 만남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하면 그동안 교회가 강조해왔던 복음의 가치들을 손상하지 않고 어떻게 보존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온전한’, ‘손상되지 않은’이라는 뜻을 가진 인택트(intact), 코로나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손상되지 않은, 손상될 수 없는 복음의 가치, 언택트의 시대에서 인택트를 찾으라고 강조한다. 전반부에서는 코로나 19가 던져준 신학적, 철학적, 교육학적 함의를 다루고 후반부에서는 코로나 19시대에 유치부, 유초등부, 중고등부 등 교회학교의 각 부서를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에 대한 세부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뉴노멀의 일상을 맞이한 교회학교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경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컴퓨터교육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14년부터 총신대학교에서 교양 컴퓨터 과목을 가르치고 기독교교육과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과목을 팀티칭하고 있다. 인천에 있는 세계로교회 중등부 교사로 섬기고 있으며, 교회교육의 부흥을 위해 조그마한 불씨가 되고자 한다. 한국 컴퓨터교육학회 이사를 맡으면서 삼성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교재를 집필했고, 미국 스크래치 팀의 『Creative computing』을 번역하여 무료로 보급했다. 또한 네이버 ‘소프트웨어야 놀자’와 EBS가 공동 개발한 ‘코딩, 소프트웨어 세상’ 제작에 참여했다. 무엇보다 팀 버너스 리의 ‘좋은 기술(정보)은 공유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레즈닉 교수의 ‘모두를 위한 컴퓨팅 사고력’을 실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oohwan.kim.790
추천사
감사의 글
1부 언택트, 교회의 위기일까?
언택트 시대, 새로운 기회-라영환 교수(총신대 교육개발원장)
코로나 19 언택트 시대의 다음세대 신앙 부흥-권순웅 목사(다음세대부흥운동본부장, 주다산교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안 사역-방성일 목사(하남교회)
2부 인택트, 교회교육의 희망을 보다
언택트 시대, 사회정서인성을 키우는 영유아부 교육 -허계형 교수(총신대, 유아교육과)
코로나 19시대, 가정과 연계하는 유초등부-함영주 교수(총신대, 기독교교육과)
코로나 19 이후의 온오프라인 교육, 미디어와 중고등부-김수환 교수(총신대, 기독교교육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지나는 교회의 자기 성찰-유은희 교수(총신대, 기독교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