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벽의 시간
20여 년간 기자 생활을 해온 저자는 국제 분쟁 전문기자로서 많은 분쟁지역을 방문하고 취재했다. 분쟁이 있는 곳에는 그가 있었고, 그곳에서 그는 분쟁지역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장벽들을 만났다. 그는 국가와 국가, 민족과 민족, 세력과 세력 간의 분쟁과 위기 상황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은 바로 장벽이라고 말한다. 한쪽은 장벽을 쌓고 다른 한쪽은 장벽을 넘어가거나 없애려 한다. 이 장벽은 누가 만들고 누가 이를 넘어가는 걸까? 저자는 거대한 장벽들의 벽돌 하나, 철조망 한 가닥마다 실타래처럼 꼬여 있는 수많은 갈등과 분쟁의 역사, 주민들의 삶과 죽음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 책은 20세기에 만들어진 다섯 개의 장벽에 관한 이야기다. ‘냉전의 상징’ 베를린 장벽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이의 분리장벽, 미국의 멕시코 국경 장벽,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만들어진 철책과 장벽, 그리고 ‘보이지 않는 장벽’인 무역 장벽이다. 이들 장벽은 건설 주체는 서로 다르지만 만들어진 배경에는 미국과 소련, 영국, 독일, 중국 등 강대국의 이해와 역학 관계가 복잡하게 작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 미국과 소련의 냉전 등 유럽과 아시아, 중동, 아메리카 대륙에서 일어난 가장 굵직한 사건들과도 연관돼 있다. 위기와 갈등의 순간 탄생한 이들 장벽은 때론 갈등 확산을 막고 충돌을 막았지만 또 다른 갈등을 초래하기도 했다. 20세기에 건설된 다섯 개의 장벽, 그 되풀이되는 장벽의 시간을 통해 누가 현명했고 누가 어리석었는지, 또 그들은 우리 삶의 궤적을 어떻게 바꿔 놓았는지를 살펴본다.
연세대학교 경법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클라호마대학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1년 동안 방문학자로 연수했다. 세계일보를 거쳐 현재 TV조선 기자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카슈미르, 캅카스 등 주요 국제 분쟁 현장을 찾아다니며 르포를 작성했다. 사회부 경찰팀장, 법조팀장, 소비자취재부장을 거쳐 현재 기획취재부장을 맡고 있다. TV조선 프로그램
프롤로그 _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막는가?
1장 냉전이 남긴 것들 _ 베를린 장벽
사건
- 베를린 운명의 날
- 동독의 분노
장벽
- 치킨 게임의 결말
탈출
- 탈출은 왜 계속되나
붕괴
- 장벽은 끝났다
그 후
- 통일의 현실
2장 보안에서 고립까지 _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건
사건
- 드레퓌스는 범인이 아니다
- 땅의 주인은 누구인가?
장벽
- 그린라인을 침범한 장벽
- 장벽에 갇힌 인권
탈출
- 노동자는 장벽을 넘는다
3장 굴욕의 국경선 _ 미국-멕시코
사건
- 빼앗긴 텍사스
- 신보다 가까운 미국
- 경제 협력의 함정
장벽
- 마약과의 전쟁
탈출
- 죽음의 열차를 타다
그 후
- 히스패닉의 반격은
4장 가장 폐쇄적인 장벽 _ DMZ
사건
- 그 전쟁의 시작
- 오판과 착오의 비극
장벽
- 요새가 된 비무장지대
- 냉전과 열전 사이
그 후
- 휴전선은 어떻게 남을까
5장 다시 갇히고 막힌 것들 _ 보이지 않는 장벽
- 모든 것은 경제다
- 나눌 수 없다면 뺏는다
- 대공황 후 남은 과제
- 바이든에 거는 기대
에필로그 _ 팬데믹 시대의 장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