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시간에 소설 써 봤니?
20년간 교실에서 해 온 성장소설 쓰기를
간결하게 담아낸 실천 지침서
국어 시간에 고등학생들과 성장소설(자라 온 이야기) 쓰기를 해 온 실천 사례를 간추려 아홉 개 알맹이로 담아냈다.
글을 쓰라고 하면 대부분 한 일만 죽 늘어놓는 아이들을 또래들이 쓴 성장소설 읽는 재미에 빠져들게 이끌면서, 서사문을 쓸 때 꼭 챙겨야 할 알맹이를 하나씩 짚어 준다. 교과서 공부에 앞서 10~15분 짬을 내어 하다 보면 이어지는 본교과 수업에까지 좋은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의 글쓰기 의욕과 만족도가 매우 높았던 활동으로, 수행평가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실어 놓았다. 제대로 된 쓰기 활동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권한다.
부산에서 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지내고 있다. 아이들을 대할 때 동료 교사 대하듯 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아이들을 만난다.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활동을 시작한 뒤로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열매로 해마다 아이들 글을 모아 학급 문집을 엮고, 책을 내기도 했다.
쓴 책으로는 《국어 시간에 뭐 하니?》가 있고, 엮은 책으로는 《버림받은 성적표》《기절했다 깬 것 같다》《생긴 대로 살아야지》가 있다.
1. 한 일만 늘어놓아서야 글이라 할 수 있을까?
2. 언제, 어디서 일어난 일인가?
3. 주고받은 말 살려 쓰기
4. 생각이 흐르는 대로(의식 흐름 기법)
5. 서사문과 설명문은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6. 그림 그리듯 묘사하기
7. 글감 찾기
8. 성장소설 쓰기
9. 쓰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