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대한민국 역사의 비밀이 한 권의 금서 속에서 펼쳐진다!
이 시대의 국민작가로 꼽히는 작가 김진명이 긴 침묵 끝에 펴낸 장편소설『천년의 금서』. 작가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국호인 한(韓)이 어디서 왔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졌었다고 한다. 한(韓)이라는 글자를 담고 있는 오래된 자료들을 찾아 헤맨 작가는 기원전 7세기 무렵에 편찬된 사서삼경 중의 한 권에서 놀라운 기록을 보게 되었다.
이 소설은 그 추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국호의 비밀을 그리고 있다. 작가는 우리의 고대사에서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한 나라의 실체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미국의 NASA 프로그램에서 증명되는 천문학적 실체에 대한 진실도 파헤치고 있다. 고대사 문제를 새롭게 조명하며, 다시 한번 한국인의 정신을 일깨워준다.
핵융합의 획기적인 발전을 주도했던 ETER의 물리학자 이정서는 대통령의 초청으로 프랑스에서 귀국한다. 하지만 며칠 후 친구의 충격적인 죽음을 접하게 된다. 경찰 수사에서 친구의 죽음은 자살로 판정되지만 정서는 의구심을 떨치지 못한다. 정서는 사건을 파고들다 다른 친구인 한은원 교수까지 실종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두 사람은 한(韓)이라는 하나의 실마리로 연결되는데…. [양장본]
김진명
현실과 픽션의 세계를 넘나들며 시대의 첨예한 미스터리들을 통쾌하게 해결해주는 우리시대의 국민작가.
저서로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가즈오의 나라> <하늘이여 땅이여> <한반도> <황태자비 납치사건> <제3의 시나리오> <도박사> <신의 죽음> 등이 있다.
작가의 말
1) 여교수의 죽음
2) 책에 목맨 주검
3) 피살자의 친구
4) 사서삼경
5) 한은원
6) 살해수법
7) 한의 유래
8) 웹하드
9) 중국으로
10) 한중과 동국
11) 왕부
12) 왕가장
13) 왕부의 서책
14) 남겨진 메모
15) 위험한 책
16) 한의 진실
17) 미끼와 미끼
18) 함정
19) 은원의 출현
20) 위기
21) 심의회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